퐁피두 센터 보수 공사 및 휴관 정보

실용 정보

파리문화 & 유산도시

Parisleo
© Parisleo

소요 시간: 0 분게시일: 19 3월 2025

개관 직후부터 독창적인 외관으로 주목받아 온 퐁피두 센터는 파리를 대표하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1977년 개관 이후, 한 번도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진행하지 않았던 퐁피두 센터가 올해 초 본격적인 리노베이션 계획을 발표했다. 안전성 확보, 접근성 개선, 기술 설비 개편 등을 목적으로 한 이번 공사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5년간 진행되는 퐁피두 센터의 보수 공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2025~2030년 장기 휴관 일정

퐁피두 센터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전면적인 리노베이션에 들어간다. 2025년 1월부터 일부 시설의 단계적 폐쇄가 시작되며, 같은 해 9월에는 건물 전체가 폐쇄되어 장기 휴관에 들어갈 예정이다.

Clickable Image Link Pompidou Schedule

1. 공연장 폐쇄

2025년 1월부터 퐁피두 센터 내 공연장이 폐쇄된다.

 

2. 국립현대미술관 및 국립도서관(Bpi) 폐쇄

2025년 3월부터 퐁피두 센터 내 국립현대미술관과 국립도서관(Bpi)의 운영이 중단된다. 국립현대미술관은 특별전을 제외하고 상설 전시를 중단한다.

국립도서관(Bpi) 임시 이전

📍 40 avenue des Terroirs de France, 75012 Paris, France

국립도서관(Bpi)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공공 도서관으로, 43만여 개의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보수 공사 기간 동안 국립도서관은 파리 12구 뤼미에르 빌딩으로 이전하며, 2025년 8월 25일부터 해당 장소에서 운영을 재개한다. 보수 공사가 끝나는 2030년, 국립도서관은 다시 퐁피두 센터로 돌아올 예정이다. 퐁피두 센터 휴관 기간 동안 일부 자료는 원격으로 계속 이용할 수 있으며, 도서관의 문화 프로그램도 2025년 1월부터 외부 장소에서 이어질 예정이다.

단, 퐁피두 센터 음향·음악연구소(IRCAM)는 이전하지 않고 퐁피두 센터 옆 스트라빈스키 광장에서 그대로 운영된다.

Paris Tourist Office-Daniel Thierry
© Paris Tourist Office-Daniel Thierry

3. 전시 및 판매 공간 폐쇄

2025년 여름부터 전시 공간과 굿즈샵, 서점이 점차적으로 폐쇄된다.

 

4. 퐁피두 센터 건물 전면 폐쇄

2025년 9월 말부터 일반 관람객들의 건물 출입이 제한된다.

 

5. 소장품 이전 작업

2025년 12월까지 퐁피두 센터 내 소장품들과 시설들을 다른 장소로 이전할 예정이다. 5년 간의 보수 공사 기간 동안 퐁피두 센터의 소장품들은 그랑 팔레(Grand Palais)를 비롯한 파리 미술관들과, 퐁피두 센터 메츠, 해외 퐁피두센터 분관 등 다양한 공간에서 전시될 계획이다. 2026년 서울에 개관하는 퐁피두 센터 한화 서울도 소장품 이전 장소 중 하나로 포함된다. 

Shigeru Ban Architects Europe et Jean de Gastines Architectes, avec Philip Gumuchdjian Architects pour la conception du projet lauréat du concours / Metz Métropole / Centre Pompidou-Metz / Photo Roland Halbe
© Shigeru Ban Architects Europe et Jean de Gastines Architectes, avec Philip Gumuchdjian Architects pour la conception du projet lauréat du concours / Metz Métropole / Centre Pompidou-Metz / Photo Roland Halbe

6. 본격적인 보수 공사 시작

2026년 4월부터 본격적인 보수 공사 작업을 시작한다.

퐁피두 센터 휴관 전 마지막 특별전

Estate of Gerard Sekoto/Adagp, Paris, 2025 / Photo : Jacopo Salvi.
© Estate of Gerard Sekoto/Adagp, Paris, 2025 / Photo : Jacopo Salvi.

리노베이션을 앞둔 퐁피두 센터가 2025년 1월부터 휴관 전까지 특별전을 진행한다. 이번 전시는 현대미술과 건축, 사진,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작품들까지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퐁피두 센터의 예술적 정체성을 반영한다. 2025년 1월에는 수잔 발라동 특별전이 열리고, 3월부터는 〈파리 누아르〉, 〈한스 홀라인: transFORMS〉, 〈Énormément bizarre〉 전시가 차례로 개막한다. 6월에는 독일 출신의 사진작가 볼프강 틸만스의 특별전이 퐁피두 센터의 마지막 전시를 장식할 예정이다.

  • 수잔 발라동 특별전
    • Suzanne Valadon
    • 2025년 1월 15일 ~ 2025년 5월 26일
  • 한스 홀라인: transFORMS
    • Hans Hollein: transFORMS
    • 2025년 3월5일 ~ 2025년 6월2일
  • 파리 누아르: 1950~2000년대 예술 교류와 반식민주의 투쟁
    • Paris noir: Circulations artistiques, luttes anticoloniales 1950-2000
    • 2025년 3월 19일 ~ 2025년 6월 30일
  • 엄청나게 이상한: 장 샤틀루 컬렉션, 앙투안 드 갈베르 재단 기증전
    • Énormément bizarre: La collection Jean Chatelus, donation de la fondation Antoine de Galbert
    • 2025년 3월 26일 ~ 2025년 6월 30일
  • 볼프강 틸만스: 아무것도 우리를 준비시키지 않았다 – 모든 것이 우리를 준비시켰다
    • Wolfgang Tillmans: Rien ne nous y préparait – Tout nous y préparait
    • 2025년 6월 13일 ~ 2025년 9월 22일

2026년 퐁피두 센터 분관 개관 소식

2025년 9월 말부터 2030년까지 퐁피두 센터가 장기 휴관에 들어가는 동안, 예술·문화 교육 및 보급 활동은 계속된다. 퐁피두 센터는 파리를 비롯한 프랑스 및 전 세계 주요 문화 기관과 협력하여 컬렉션과 예술 프로그램을 각지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그중 2026년 개관을 앞두고 있는 두 곳의 새로운 퐁피두 센터 분관을 소개한다.

📍 퐁피두 센터 프랑실리앙 (Centre Pompidou Francilien - Fabrique de l’Art)

2026년 가을, 일드프랑스 지역의 에손(Essonne) 주 마시(Massy)에 ‘퐁피두 센터 프랑실리앙’이 개관한다. 이곳은 단순한 분관이 아닌 전시 공간과 함께 보존·복원 연구의 중심지로 기능할 예정이다. 퐁피두 센터와 피카소 국립 박물관의 소장품을 보관하며, 작품 보존과 복원 작업을 수행하는 주요 시설이 된다. 또한, 문화·예술 프로그램과 대중 참여형 교육 활동이 운영될 계획이다. 파리에서 그랑 파리 익스프레스 18호선을 이용하면 약 30분 만에 도착할 수 있어, 파리 및 일드프랑스 지역 주민들에게 새로운 예술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Centre Pompidou
© Centre Pompidou

📍 퐁피두 센터 한화 서울

2026년, 대한민국 서울에서도 퐁피두 센터를 만나볼 수 있다. 퐁피두 센터는 한화그룹과 협력하여 ‘퐁피두 센터 한화 서울’ 설립을 진행 중이다. 한국 관람객들에게 현대 미술을 더욱 가까이에서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세계적인 아트 컬렉션과 다채로운 문화 프로그램이 마련될 예정이다. 미디어 아트, 설치미술, 회화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기획전과 교육 프로그램이 기획 중이다. 여의도 63스퀘어에 들어설 퐁피두 센터 한화 서울이 어떤 모습으로 문을 열지 기대해보자.

korea herald
© korea herald

By France.fr 프랑스관광청

France.fr 편집팀은 최신 트렌드와 여행 소식을 바탕으로 프랑스 곳곳의 숨은 매력을 소개합니다. 흥미로운 이야기와 정보를 통해 프랑스의 새로운 면모를 발견하게 해주는 여행 길잡이입니다.

더보기